본문 바로가기
캐묻기/잡학다식

[지리]온대지방과 한대지방 – 위도와 기후 자연현상

by 수납장 주인 2025. 5. 17.

온대지방과 한대지방 – 기후가 만든 식탁, 위도가 만든 삶


위도와 온대지방 한대지방
온대, 한대 한눈에 보기


여행 유튜브 영상을 볼 때 흥미롭게 보는 법- 기후와 시차 등에 관심갖기
위도 경도 와 관련한 3번째 포스팅이다.
궁금한 점이 계속 생겨서 그렇다.


2025.05.13 - [캐묻기/별걸 다 궁금해한다] - 위도, 경도가 뭐였지?-위도 경도 적도 뜻

 

위도, 경도가 뭐였지?-위도 경도 적도 뜻

위도 경도. 대충은 아는데 이걸 알아서 뭐하지?이런건 궁금할 때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위도, 경도, 적도🔸 한 줄 요약:위도: 지구를 가로로 나눠서, 적도에서 얼마나 위나 아래에 있는지

donudeka.tistory.com

<도움되는 글 - 위도 경도 적도 의미는 링크 발행 글 참조>


위도로 기후가 나뉜다. 올라갈 수록 추워진다.

다들 아시겠지만 날씨 따라 식생활도 다르다.

위도를 기준으로 기후가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보고,
식생활 차이와 극지방의 자연현상은 어떤게 있는지 톺아봤다.

 


목차

  1. 온대지방이란? – 사계절과 변화
  2. 온대지방의 환경과 대표 국가
  3. 온대지방의 식생활
  4. 한대지방이란? – 끝없는 겨울
  5. 한대지방의 환경과 대표 국가
  6. 한대지방의 식생활
  7. 극야, 백야, 영구동토란 무엇인가
  8. 기후가 바꾼 식탁과 문화
  9. 마치며

1. 온대지방이란? – 사계절과 변화

온대지방은 위도 30~60도 사이에 펼쳐진,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이다.
한국, 일본, 프랑스, 미국 동부, 중국 동부, 독일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여긴 봄·여름·가을·겨울,
계절마다 풍경도, 날씨도, 식탁도 달라진다.


2. 온대지방의 환경과 대표 국가

온대지방은
적당한 강수량과 뚜렷한 온도차가 특징이다.
이런 기후 덕에 농업이 발달했고,
서울, 도쿄, 뉴욕, 파리, 베이징처럼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들이 자리 잡았다.


3. 온대지방의 식생활

온대 식탁의 핵심은 다양성과 계절성이다.
벼, 밀, 옥수수 같은 곡물,
사과, 배, 감귤, 감자, 고구마,
배추, 무, 양파, 토마토 등
신선한 재료가 계절마다 식탁을 채운다.
음식 종류도 끝이 없다.
끓이고, 굽고, 찌고, 볶고, 절이고, 발효하는 다양한 조리법,
여름엔 시원한 냉국, 겨울엔 뜨거운 찌개,
김치, 장류, 피클처럼 저장 음식도 발달했다.
명절 음식, 계절 음식,
축제마다 달라지는 풍성한 한 끼.
온대의 식탁은 선택지가 많다.



4. 한대지방이란? – 끝없는 겨울

한대지방은 위도 66.5도 이상,
북극권과 남극권,
러시아(시베리아), 핀란드, 캐나다 북부, 알래스카,
그리고 남극 대륙이 대표적이다.
여긴 겨울이 절대적으로 길다.
여름은 잠깐, 그리고 낮고 비스듬한 햇빛.
대부분의 시간, 땅과 공기는 싸늘하다.


5. 한대지방의 환경과 대표 국가

이 지역은
영구동토(땅이 늘 얼어 있는 현상)가 흔하다.
농사를 짓기도 어렵고,
수풀이 거의 없으며
사람들은 도시보단 작은 마을이나 연구기지에 산다.


6. 한대지방의 식생활

보존과 열량보충이 중점이다.

한대의 식탁은 생존과 에너지가 먼저다.
주요 식재료는
순록, 사슴, 바다표범, 해양 포유류,
연어, 대구 같은 생선,
간혹 베리류와 일부 식물.
조리법은 단순하다.
삶거나 굽거나, 훈제하거나, 그대로 날로 먹는다.
신선 채소는 부족해
비타민은 생고기, 생선, 야생열매에서 보충한다.
음식 저장은 필수.
훈제, 건조, 염장 등 보존법이 기본이다.
순록 스튜, 훈제 연어, 건조 생선,
해양동물 지방(블러버), 생고기 요리가 대표적이다.
한대의 식탁은 절제와 열량이 우선이다.


7. 극야, 백야, 영구동토란 무엇인가

한대지방은 극야, 백야, 영구동토 현상이 생긴다고 한다.
대충은 알겠는데, 설명은 못하겠다. 그게 뭐야?

대낮에도 캄캄한 극야 / 이해를 돕기 위한 AI생성 이미지


극야( Polar Night )

겨울 동안 해가 전혀 뜨지 않아
며칠~몇 달 밤이 계속되는 현상이다.
북극·남극 가까운 곳의 겨울엔
‘낮이 없는 밤’이 온다.

위도가 높은 지역, 
북반구인 노르웨이의 트롬쇠 지역 극야가 대표적이다.

백야( Midnight Sun )
반대로, 여름 동안 해가 지지 않아
밤에도 환한 현상이다.
밤이 되어도 해가 지평선 아래로 완전히 내려가지 않는다.
한밤중에도 낮처럼 밝은, 신기한 경험이다.

영구동토 ( Permafrost )
땅이 2년 이상 연속으로 얼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여름에 겉흙만 잠깐 녹고,
그 아래는 계속 얼어 있다.
이유는 낮은 태양 고도와
연중 낮은 온도 때문이다.
이런 환경은
나무뿌리가 깊이 뻗지 못하게 하고,
건물도 특별하게 지어야 하며,
식생과 인간 생활에 큰 영향을 준다.


8. 기후가 바꾼 식탁과 문화

온대는 계절과 풍요의 식문화,
한대는 생존과 에너지의 식문화를 만들었다.

온대에선 계절 따라 새로운 음식을,
한대에선 저장과 고열량 식단을 선택했다.
이 차이는 음식의 종류, 조리법,
명절과 일상,
사람들의 문화까지 바꿨다.


9. 마치며


겨울엔 여름이 그립고
여름엔 겨울이 그리운 게 내 욕심이다.
점점 한국의 날씨에도 적응하기 참 힘들다.

극지방이 하루하루 생존만 신경쓰며 사느냐,

여행 유튜브 영상들을 보니 사실 그렇지는 않더라.

유학생도 있고 마트도 잘 돼있고, 전동썰매 타더라.
다들 알아서 잘 지낸다.

인간의 적응력도 대단하지만
기술력의 전파를 실감했다.

한 접시에 담긴 지구,
그 안엔 온대와 한대의 시간이 흐른다.


[추천 이전 발행 글]

2025.05.13 - [캐묻기/별걸 다 궁금해한다] - 남극 북극 차이+오로라 관측은 어디서?

 

남극 북극 차이+오로라 관측은 어디서?

남극 북극, 둘 다 얼음 왕국인데 뭐가 다를까?🔸 한 줄 요약남극은 땅 위에 얼음, 북극은 바다 위에 얼음.그래서 남극이 훨씬 춥고, 생물·환경도 완전 다름.구분 / 원주민 유무 / 거주동물/ 특징

donudeka.tistory.com

 
2025.05.16 - [캐묻기/잡학다식] - [지리]지구를 나누는 두 줄, 위도와 경도 이야기

 

[지리]지구를 나누는 두 줄, 위도와 경도 이야기

목차위도란? – 지구의 가로줄, 날씨를 나누는 기준적도는 나라일까? – 적도를 통과하는 실제 국가들위도가 기후를 바꾼다 – 왜 적도는 덥고 극지는 추운가?경도란? – 지구의 세로줄, 시간을

donudeka.tistory.com

 
[홍보] 요리 카테고리 관련 글 별도 연재중

2025.05.02 - [공지] - 구글 블로그 링크!

 

구글 블로그 링크!

수납장-구글블로그 수납장자영업·요식업 실용 지식. 야채, 조리과학, 위생을 정리해 배워가는 블로그입니다.cbnit.blogspot.com

donudeka.tistory.com

 



 
 
 

728x90